제1장 감각통합 정의 및 분류
- 감각통합이란
- 감각통합 이론의 역사
- 감각통합 이론의 개념
- 감각통합기능장애의 분류
제2장 신경과학
Ⅰ.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 중추신경계의 구조
- 중추신경계의 기능
- 자극의 수용기와 전달
- 수용기의 적응
- 처리과정의 배분과 조절
Ⅱ. 몸감각계(Somatosensory system)
- 몸감각수용기
- 외수용기
- 고유감각기
- 내장수용기
- 몸감각 전달
Ⅲ. 청각과 평형감각계
- 청각계
- 안뜰감각계
Ⅳ. 시각계
- 수용기와 전달
- 중추신경계의 연결
제3장 감각통합(처리) 관련 질환의 이해
- 서론
- 감각 조절
- 감각 기반 운동장애
- 감각구별장애
제4장 감각통합발달
- 감각통합의 기본 원리
- 영역별 발달단계
제5장 감각통합의 평가: 조절
Ⅰ. 감각통합 평가
- 감각통합 평가의 개요
Ⅱ. 감각조절장애 평가
- 감각조절장애 평가의 개요
- 감각력 면담
- 감각프로파일2
- Sensory Processing Measure
제6장 감각통합의 평가: 실행
- 서론
- 감각통합(처리)의 평가
- 감각통합(처리) 평가에 대한 최신 근거
제7장 감각통합과 구강 기능
- 구강 기능과 발달
- 구강 기능 관련 문제
- 감각통합처리와 구강활동의 평가
- 구강활동 관련 중재
제8장 기능 해석 감각 시스템의 이해
- 서론
- 고유수용성 감각 시스템
- 촉각 시스템
- 안뜰계 감각 시스템
제9장 감각통합중재
- 감각통합중재 원칙
- Ayres 감각통합중재 원리
- 감각통합중재의 목표
- 감각통합중재 도구
- 감각통합중재 사례
제10장 감각조절장애 중재
- 감각조절장애의 분류 및 특징
- 일반적인 감각조절장애의 중재 전략
- Sensory Modulation Disorder 분류에 따른 중재 전략
- 감각조절장애의 감각통합중재
- 질환에 따른 감각조절장애의 감각통합 사례
제11장 감각구별 및 실행 장애중재
- 감각구별장애
- 실행장애
제12장 중재 환경 및 도구
- ASI의 필수적인 감각통합중재 도구(구조적 요소)
- 감각통합중재 도구 소개
- 감각통합중재 도구의 적용 방법
제13장 감각통합: 사례 분석
- 감각조절장애 사례 1: 감각 방어형
- 감각조절장애 사례 2: 감각추구형
- 실행장애 사례 1: 자세조절장애
- 실행장애 사례 2: 양측통합 및 순서실행장애
제14장 감각통합: 문헌 고찰
- 감각통합 연구
- 감각통합 임상과 범위
- 감각통합의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