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제목 : 경계선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_발달장애ㆍ경계선의 세계를 이해하는 책
+ 발행일 : 2025년 3월 15일
+ 저자 : 나리사와 신스케
+ 역자 : 김상민·고미현
+ 도수 : 1도
+ 판형 : 152*225
+ 제본형태 : 무선제본
+ 총페이지 : 248p
+ 가격 : 18,000원
+ ISBN : 979-11-988430-4-3
<저자 소개>
나리사와 신스케
전 특수지원학교 교사. 장자와 헨리 데이비드 소로에게 영향을 받음. 일본아동문학자협회에서 오카 슈조 씨로부터 아동문학을 배움. 30년에 걸친 치료교육 경험을 통해
많은 발달장애 아이들과 만남. 아동도서 “ADHD 덜렁대는 해리”, “자폐증의 바나얀”(少年??新聞) 외에 “선생님, 우리, 장애아인가요?”(現代書館), “무지개 학생들”(講談社), “살기 힘든 아이들의 진정한 발달 지원”(風鳴?) 등 다수의 저서.
문부과학대신 표창, 일본지원교육실천학회 연구장려상, 효고교육대학교 장려상 수상.
<감수자 소개>
타키 야스유키
도호쿠대학교 노화의학연구소 임상노화의학연구분야 교수. 도호쿠대학교 스마트 에이징 학제 중점 연구센터 부센터장. 뇌의 MRI 영상을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여
뇌 발달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자로 활동 중. 현재까지 읽기 및 분석한 뇌 MRI는 16만 명에 달함. “뇌의학 선생님, 머리가 좋아지는 과학적인 방법을 알려주세요” 공저(日
?BP), “회상 뇌: 뇌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중요한 습관”(?春出版社), 講談社의 움직이는 도감 MOVE 시리즈 등 다수의 저서가 있음.
<역자 소개>
김상민
ABA부모회 대표이며 공인행동분석가(BCBA)이다. 대구사이버대학교 행동치료학과 졸업,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심리행동치료를 전공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쓰미키북(자폐아동을 위한 ABA조기집중치료매뉴얼) 공역>,
<그림으로 배우는 ABA실천메뉴얼 공역>, <그림으로배우는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공역>, <그림 카드를 이용한 장애인의료진료 공역>, <모두가 빛나려면1,2 공역> 등이 있다.
고미현
ABA부모회 부대표이며 공인준행동분석가(BCaBA)이다. 대구사이버대학교 행동치료학과 졸업,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심리행동치료를 전공했다.
번역한 책으로는 <쓰미키북(자폐아동을 위한 ABA조기집중치료 매뉴얼) 공역>, <그림으로 배우는 ABA실천메뉴얼 공역>, <그림으로 배우는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공역>,
<그림 카드를 이용한장애인 의료진료 공역> 등이 있다.
<역자 서문>
이 책,『 경계선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은 발달장애와 경계선에 놓인 사람들의 삶을 다루며, 그들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과 고민들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저자는 발달장애를 단순한 ‘문제’로 바라보기보다는 그 자체를 하나의 ‘특성’으로 인정하며, 그들이 어떻게 일상을 살아가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해 나가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장애를 이분법적인 기준으로 단순히 구분 짓기보다는, 이를 통해 사람들의 삶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했습니다. 책의 구조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독자는 ‘여행자’로서 발달장애와 경계선의 세계를 여행하듯 각 장을 탐험하게 됩니다. 각 장은 ‘여행 이야기’라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과 그들의 인식, 반응을 하나의 에피소드처럼 풀어내고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발달장애에 대해 보다 감각적이고 현실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장의 이야기 속에서 독자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신이 겪고 있는 일상적인 문제와 특성들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발달장애와 경계선의 특성들은 단순히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저자는 모든 사람들이 어느 정도 발달장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소한 불편을 겪고있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감각과민이나 시간 감각의 문제, 충동 조절의 어려움 등은 누구나 일상에서 한 번쯤 겪어봤을 만한 것들입니다.
이러한 특성들을 단순히 장애로 치부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다양성과 개성으로 바라보는 저자의 시각은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이 책은 발달장애를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합니다.
저자는 장애라는 단어 자체가 사회적 개념을 형성하고, 그 개념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그리고 장애로 진단을 받아도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문제도 제기합니다. 이는 발달장애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새롭게 재정립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사회적 지원과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저 역시 번역을 하는 동안에 이 책을 통해 많은 배움을 얻었습니다. 발달장애와 경계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었고, 그들의 특성과 고민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 책은 단순히 발달장애인을 위한 가이드가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가족과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읽고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자신과 타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포용하는 열린 마음을 갖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출간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신 에이스북의 고영수 대표님과 차인선편집자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차례>
여행 이야기 1 오일 서킷 그랑프리 - 2
여행 이야기 2 좋아하는 것 카니발 ? 28
여행 이야기 3 시간이 없는 공원 ? 44
여행 이야기 4 교통체증 공황의 도시 ? 58
여행 이야기 5 잭이 숨어있는 길모퉁이 - 80
여행 이야기 6 일을 일으키는 화산 ? 106
여행 이야기 7 마음 연구소 ? 124
여행 이야기 8 집착 개미지옥 ? 142
여행 이야기 9 네거티브 사막 - 156
여행 이야기 10 결혼 활동 암벽등반 ? 172
마지막으로 ? 221
인용 및 참고문헌 -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