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옵션을 선택하여 일반형과 단축형을 구분해 주문하시기 바랍니다.?
Korean Child Personality Inventory for Self-Report
?
표준화 : 황순택, 김지혜, 안이환 외
목적 : 아동의 성격과 심리적 부적응 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
대상 : 초등학생 4~6학년
실시형태 : 개별/집단검사
소요시간 : 일반형 30~40분 / 단축형 10~20분
구성 : 전문가 지침서, 검사지 30부, 답안지 30부
?
간략소개
아동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서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성격적 요소나 심리적 부적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곧 성인기의 부적응 또는 정신장애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동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내고 전문가의 평가과정을 거쳐 문제의 존재여부 및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효과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
상품특성
1. 표준화자료는 교육통계연보(교육인적자원, 2007)에 근거해서 전국의 초등학교(4~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 부모평정용으로 개발된 한국 아동인성평가척도(KPRC)의 문항을 자기보고형으로 수정하여 한국 아동 성격검사(KCPI-S)를 개발하였다.
3. 교사평정용 한국아동성격검사(KCPI-T)와 본 검사의 초등용을 함께 병행하게 되면 좀 더 신뢰로운 관점의 결과해석을 볼 수 있다. 또한 자료 수집의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본인으로부터 직접 자료를 얻게 되면 자료수집 과정이 간편화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부모나 교사의 지각과 관점에서 반영되지 않는 내면화된 부분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
하위검사구성??
척도 |
하위척도 |
약호 |
내용 |
타당도척도 |
비일관성척도 |
ICN |
반응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문항에 얼마나 주의를 기울여 일관성 있게 응답하는지를 측정 |
허위척도 |
L |
사소한 문제점이나 약점을 부인하면서 자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이려는 방어적인 태도를 측정 | |
빈도척도 |
F |
현재 겪고 있는 문제를 의도적으로 과장하려 하거나 실제로는 있지 않은 증상을 보고하는 것을 측정 | |
자아탄력성척도 |
ERS |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이나 적응잠재력을 측정 | |
임상척도 |
언어발달척도 |
VDL |
언어발달이 연령에 맞게 이루어지는가를 측정 |
운동발달척도 |
DL |
정신운동기능이나 동작성 능력에서 발달의 지체나 기능손상을 측정 | |
불안척도 |
ANX |
자연현상이나 동물, 대인관계 또는 사회관계에서의 두려움이나 불안과 공포를 측정 | |
우울척도 |
DEP |
아동·청소년기의 우울증을 측정 | |
신체화척도 |
SOM |
건강에 관한 내용과 정신적 문제로는 보이지 않는 신체감각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실상 신체증상으로 나타내는 정신적 문제 측정 | |
비행척도 |
DLQ |
아동의 비행성향을 측정하고 품행장애가 있는지를 측정 | |
과잉행동척도 |
HPR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을 보이는지를 측정 | |
가족관계척도 |
FAM |
가족원들 간의 갈등과 부모로서 아이를 대하는 태도, 부모의 부적응 여부를 측정 | |
사회관계척도 |
SOC |
또래관계나 어른들과의 관계 등 사회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측정 | |
정신증척도 |
PSY |
망상과 환각, 비현실감, 상동적인 행동 등 정신병에서 주로 드러나는 증상을 측정 |